생물테러감염병
생물테러 의심 우편물?!
반송 주소가 없음
- 본인 개봉을 요청하는 표시가 있음
- 울퉁불퉁하고 이상한 냄새가 남
- 테이프나 끈으로 과도하게 포장되어 있음
- 외국에서 보낸 듯한 우편물
- 과다한 우표가 붙어 있음
- 딱딱하거나 부피가 큼
주의! 의심 우편물 발견시
- 개봉금지(만지거나 냄새 금지)
- 흔들거나 충격금지
- 취급 후 비눗물로 손 씻기
주의! 백색가루 발견시
- 손수건이나 옷으로 코와 입을 막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
- 비누와 물로 손씻기
- 주변 사람들 대피 유도
신고는 경찰서(112) 소방서(119)
페스트(Plague)
- 원인균Yersinia Pestis
- 감염경로
- 감염된 벼룩에 물려 전파
- 감염된 야생동물을 취급하거나 폐 페스트 환자가 배출하는 비말을 통해 감염
- 잠복기1일 ~ 3일
- 주요증상
- 호흡기 페스트심한 두통, 피로, 발열, 구토와 현저한 쇠약감으로 시작, 수액성 혈담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등이 발생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페스트에서는 드물지만 생물테러 시에 가능
- 림프절 페스트염증에 의해 커진 림프절의 (Buboes) 심한 통증과 종창, 현저한 압통이 특징
- 패혈증 페스트(잠복기1~6일)구토, 구역, 설사 등(치명률 33%)
- 호흡기 페스트심한 두통, 피로, 발열, 구토와 현저한 쇠약감으로 시작, 수액성 혈담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등이 발생
- 감염방지를 위해서
- 환자의 격리
- 환자분비물 및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 소독
탄저 (Anthrax)
탄저균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으로 제1급 감염병이며 사람에서 사람으로는 전파되지 않으나 최근에 생물 테러에 대한 공포로 위협의 대상이 된 감염병(조기에 발견되면 항생제로 바로 치료가 가능)
- 원인균Bacillus anthracis
- 감염경로
- 감염된 동물과 직접 접촉(도살, 절개, 박피등)
- 오염된 양모, 털, 뼈 등과 접촉하거나, 오염된 육류를 섭취, 흡기 감염으로 전파
- 동물(소, 양, 염소, 돼지 등) rkaduadsm 오염된 목초지에서 탄저균의 아포에 의함
- 잠복기1일~60일
- 주요증상
- 피부탄저구진수포성궤양 → 괴사성 가피, 부종, 소양감
- 페탄저미열, 마른기침, 피로감 → 호흡곤란, 고열, 빈맥, 토혈
- 위장관 탄저구역, 구토, 식욕부진, 발진 → 토혈, 복통, 혈변
- 합병증수막염(탄저 환자의 5%에서 발생)
흡입에 의한 전신성 감염은 증상발현 후에 100%에 가까운 치명률을 보임
- 감염방지를 위해서
- 매년 사육동물 예방접종
- 환자병변의 분비물과 이에 오염된 물품 소독
- 피부탄저: 접촉격리, 폐탄저 : 호흡기 격리
- 동물 사체는 소각하여야 하며, 불가능할 경우에는 동물을 파내지 못하도록 깊게 묻어야 함
- 과산화수소, 과초산 등을 이용해 소독
보툴리눔독소증
보툴리눔 독소가 신경근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이 방출되는 것을 맛아서 마비를 일으키는 급성, 대칭성, 진행성의 신경마비 질환
- 원인균lostridium botulinum
- 감염경로
- 식품매개부툴리누스균이 식품에서 증식하여 생산한 독소를 섭취하여 발생
- 외상성상처가 균에 오염되거나 상처가 불충분하게 치료되었을 때 보툴리누스균의 아포가 발아하여 발생
- 흡입성생물테러 목적으로 보툴리눔 독소를 에어로졸 형태로 살포하믐 경우 호흡기를 통해 흡수되어 발생
- 잠복기
- 식품매개형12시간~36시간
- 흡입형약 72시간
- 주요증상
- 뇌신경 마비로 시작되는 대치적이며 신체의 하부로 진행하는 이완성 신경마비가 특징
- 복시, 시야흐림, 안검하수, 발음장애, 연하곤란, 골격근 마비 등의 증상을 보이고 호흡근의 마비로 호흡부전이 발생
- 감염방지를 위해서독소는 햇볕에 3시간, 섭씨 80도로 30분간 가열하거나 섭씨 100도에 수 분간 가열하면 독성을 상실
야토병(PAD)
야토병균의 감염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성 발열성 인축공통 전염병
- 원인균Francisella tularensis
- 감염경로
- 감염된 진드기, 사슴등애(deeprfly), 기타 곤충에 물림
- 감염된 동물의 사체 취급
- 병원체이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
- 병원체의 흡입
- 잠복기1일~21일
- 주요증상
- 피부궤양, 임파선이 붓거나 아프고, 눈이 붓고, 인후통, 설사, 폐렴 등
- 호흡기 감염 시: 갑작스런 열, 오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거친기침등
- 감염방지를 위해서손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
두창
천연두, 마마, 발열, 수포, 농포성의 병적인 피부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사망률이 매우 높은 감염질환, 1979년에 전 세계적으로 사라진 질병으로 선언되었지만 생물 테러무기로 이용될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최근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음
- 원인균Varioia Virus
- 감염경로
- 감염자의 인두에서 분비되는 비말에 의해 전파
- 옷이나 침구류 등 오염된 물건에 의한 전파도 가능
- 잠복기12일~14일
- 주요증상
- 감염후 12~14일 후갑작스런 중등도의 발열, 사지허탈, 심한 두통, 가슴 또는 복부 부위가 불명확한 심한 통증 및 극심한 불안
- 발열 수 2~3일 경과극심한 홍역이나 풍진과 닮은 부스럼이 있는 홍반성 발진이 얼굴, 손등, 가슴 등의 상부에 발생
- 발병 8일째부터 13~14일 사이천천히 수포성 발진으로 진행하여 융합되어 물집이 생겨 부드러워진 피부를 덮음
- 질병13일 혹은 14일째까지부드러운 습윤성의 피부가 박탈되어 심한 통증이 있음
자연적인 유행 시 대두창의 경우, 치명률이 15~50%로 매우 높음
- 감염방지를 위해서
- 병원체에 노출된 경우 4일 안에 백신 접종
- 노출된 후 최소한 17일 동안 격리 및 검역
- 환자는 딱지가 사라질 때까지 감염성이 있다고 간주
- 환자의 격리 및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 소독 철저
문의사항
지역보건과 감염병관리팀 2127-5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