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사 천수관음도
행복을 여는 동대문구
연화사 천수관음도
연화사 천수관음도 이미지
- 지정번호서울시유형문화재 제344호
- 지정일2013년 3월 7일
- 관리주체연화사
- 소재지동대문구 경희대로3길 56 (회기동)
문화재 소개
漢峰 應作, 寶山 福柱, 淸菴 雲照, 大凡, 奉典, 海梵 등이 조성한 천수관음도로서, 1901년에 괘불도, 신중도, 지장시왕도, 칠성도 등과 함께 일괄 조성되었다.
버들가지가 꽂혀 있는 淨甁과 經冊을 받쳐 든 4臂와 함께 8臂를 갖추고 바다 가운데로 솟아오른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관음보살을 本體로 천수천안을 표현한 千手觀音圖이다.
연화사 천수관음도에는 선재동자와 龍角을 든 용왕이 관음보살을 향해 서 있는데, 천수관음도에 선재동자가 묘사된 것은 『화엄경』 入法界品에 의한 것으로, 선재동자가 여러 선지식을 찾아 菩薩行과 菩薩道를 묻는 도중 28번째로 보타락가산에 머물고 있는 관음보살을 찾아가 청법하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천수관음도에서 선재동자와 상대하여 용왕을 묘사한 것은 조선후기 수월관음도의 도상을 따른 것으로 보여, 연화사 천수관음도가 고려시대 이래 천수관음도의 전통을 잇고 있는 한편, 조선후기 이래 수월관음도의 도상을 계승하였음을 보여준다. 연화사 천수관음도의 도상은 이후 대산사 천수관음도(1925년)로 계승되었다.
이 불화는 漢峰 應作이 수화사가 되어 寶山 福柱, 淸菴 雲照, 大凡, 奉典, 海梵와 함께 조성하였는데, 응작은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으로 연화사를 비롯하여 봉원사, 청룡사 등의 불화를 제작하였다. 應作은 초기에 대은당 돈희, 보산당 복주, 청암당 운조, 대범, 봉전 같은 화승들과 함께 작업 했는데, 서울 경기지역의 대표화승인 경선당 응석의 초본을 이용한 작업을 하는 등 서울지역의 화풍을 두루 섭렵하여 자신의 작품세계를 형성하였다.
고려~조선시대 천수관음도의 도상을 계승한 작품으로서, 19~20세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흐름 및 화승의 활동을 연구하는데도 중요하며, 천수관음도는 서울지역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매우 드물게 남다.
버들가지가 꽂혀 있는 淨甁과 經冊을 받쳐 든 4臂와 함께 8臂를 갖추고 바다 가운데로 솟아오른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관음보살을 本體로 천수천안을 표현한 千手觀音圖이다.
연화사 천수관음도에는 선재동자와 龍角을 든 용왕이 관음보살을 향해 서 있는데, 천수관음도에 선재동자가 묘사된 것은 『화엄경』 入法界品에 의한 것으로, 선재동자가 여러 선지식을 찾아 菩薩行과 菩薩道를 묻는 도중 28번째로 보타락가산에 머물고 있는 관음보살을 찾아가 청법하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천수관음도에서 선재동자와 상대하여 용왕을 묘사한 것은 조선후기 수월관음도의 도상을 따른 것으로 보여, 연화사 천수관음도가 고려시대 이래 천수관음도의 전통을 잇고 있는 한편, 조선후기 이래 수월관음도의 도상을 계승하였음을 보여준다. 연화사 천수관음도의 도상은 이후 대산사 천수관음도(1925년)로 계승되었다.
이 불화는 漢峰 應作이 수화사가 되어 寶山 福柱, 淸菴 雲照, 大凡, 奉典, 海梵와 함께 조성하였는데, 응작은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으로 연화사를 비롯하여 봉원사, 청룡사 등의 불화를 제작하였다. 應作은 초기에 대은당 돈희, 보산당 복주, 청암당 운조, 대범, 봉전 같은 화승들과 함께 작업 했는데, 서울 경기지역의 대표화승인 경선당 응석의 초본을 이용한 작업을 하는 등 서울지역의 화풍을 두루 섭렵하여 자신의 작품세계를 형성하였다.
고려~조선시대 천수관음도의 도상을 계승한 작품으로서, 19~20세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흐름 및 화승의 활동을 연구하는데도 중요하며, 천수관음도는 서울지역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매우 드물게 남다.